코로나로 인해 생각보다 빨리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다가왔습니다.
아니, 어쩌면 이미 우린 그 시대의 물결에 올라타 있는지도 모릅니다.
이 혁명의 시대가 우리의 현재 직업과 직장을 어떻게 바꾸고 있을까요?
또한, 학생들의 학교와 학과는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요?
들어가기에 앞서 4차 산업 혁명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갑시다.
클라우스 슈왑 교수가 최초로 말하길,
"4차 산업 혁명이란 것은 물리적, 디지털, 생물학적 영역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만들어 버린다."
라고 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인공지능, 어플리케이션, 드론, 자율주행 자동차 등이 있겠습니다.
이 기술들은 산업의 발전 속도가 매우 빨라서 그 흐름을 빠르게 캐치하는 것이 핵심이 되겠습니다.
그럼 이쯤에서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표한 '4차 산업혁명 시대 내 직업찾기'라는 보고서의 내용으로,
미래의 유망 직업과 전공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사물인터넷 전문가
통신공학, 컴퓨터공학, 전자공학, 제어계측공학 등
인공지능 개발자
컴퓨터공학, 정보공학, 정보시스템, 데이터 프로세싱, 수학 등
빅데이터 전문가
통계학, 수학과, 컴퓨터 공학, 산업공학, 경영학, 경제학, 문헌정보학, 마케팅전공 등
가상현실/증강현실 개발 및 관련 업종
컴퓨터 공학, 디자인, 인문사회 관련 전공 등
생명과학 연구원
생물학과, 생물공학과, 미생물학과, 생명과학과, 생명공학과, 유전공학과, 바이오생명과, 농업생명과학과, 의학과, 약학과 등 전공 분야에서 최소한 석사학위 이상
정보보호 전문가
컴공, 정보통신공학, 전자공학, 전산학, 정보처리학, 정보보호 관련 학과 전공, 정보보호 관련 공공 및 사설교육기관의 교육과정 등
로봇 공학자
로보틱스,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제어계측공학, 정보통신공학, 물리학,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재료공학 등
환경공학자
대학 및 대학원에서 환경공학과, 사회환경 시스템 공학과, 바이오환경공학과, 에너지환경과학과, 지구환경과학과, 화학공학과, 환경학과, 해양환경공학과, 산림환경과학과, 환경과학과, 환경정보과, 환경화학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등
이 밖에도 자율주행차, 스마트팜, 스마트 헬스케어, 3D 프린팅, 드론, 소프트웨어, 신 재생에너지 등이 있습니다.
우리 모두 그리고 앞으로 태어날 아이들까지 4차산업혁명을 피해갈수는 없습니다.
이러한 시대의 변화를 거부하기보다 빠르게 받아들이고 대비하는 것이 앞으로의 삶에 큰 기회를 줄거라 생각합니다.
'경제 지식백과 > 메타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와 뇌를 연결하는 기술 '뉴럴링크', 인간은 인공지능을 능가하고 뇌 질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 (0) | 2021.07.14 |
---|---|
'위기의 순간'을 '기회의 순간'으로 바꾸는 4단계 방법! 이를 이용한 '넷플릭스' (0) | 2021.01.23 |
게임 속으로 출근하고 살아가는 시대 '메타버스'가 온다! (0) | 2021.01.15 |
댓글